자료구조는 개발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 지식입니다.
혼자 공부하는 것보다 동료와 공부하는 것이 더 즐겁고 효율적인건 아시죠?
자료구조를 “짝과 함께” 공부할 수 있는 공부반을 모집합니다.
(일명 “깐부 프로그래밍”이라고 하죠^^)
공부반은 각 주제에 대해 공부와 과제를 하고,
모임에 와서 같은 반 동료들과 그 내용을 공유하고,
구현한 과제의 코드를 리뷰하는 모임입니다.
모임은 주 2회가 기본이고,
과제와 학습은 “짝과 함께” 합니다.
짝은 매주 변경됩니다.
일주일 동안은 같은 짝과 함께 공부도 하고 과제도 해야 합니다.
작년 한 해 운영을 해보니,
초반에는 제가 공부반 운영 (짝이나 발표팀 )에 관여했지만,
시간이 지나니 각 반별로 자율적으로 잘 운영되었습니다.
올해 공부반은 분기당 1번 (총 4회) 모집될 예정이고,
매회 20명( 2개반 각 10명씩) 구성될 예정입니다.
1월, 4월, 7월, 10월 모집 공고가 나갑니다.
선착순으로 지원해 주시면 됩니다.
자료 구조 공부 반 진행 목록 (총 12회)
모임 횟수 | 공부 할 주제 | 과제 |
1회 | 배열, 리스트 | 배열, linked 리스트 구현하기 |
2회 | 리스트의 구현과 활용 | circular, double linked list 구현하기linked list 역순, 다항식의 덧셈 |
3회 | 스택 | stack array와 linked list로 구현하기 |
4회 | 스택 응용 | 미로 구현하기 |
5회 | 큐 | queue, circluar queue, deque 구현하기 |
6회 | 큐 응용 | 큐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
7회 | 트리 개념 | 이진 트리 구현, 트리 순회하기 |
8회 | 이진트리 | BST, Heap 구현하기 |
9회 | 그래프 | 배열, 연결 리스트로 그래프 구현하기 |
10회 | 그래프 | MST, Kruskal, Prim, Dijkstra, Floyd 알고리즘 구현하기 |
11회 | 정렬 | 정렬 알고리즘 구현과 시간 복잡도 |
12회 | 해싱 | 검색 알고리즘 |
공부 반 진행 동안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본인의 학습 시간을 잘 생각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 구성 전 저와 “사전 면담”이 있습니다.
시간은 신청 후 개별 조율하게 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