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김수보 멘토입니다.
7월 1일 “Project-X 오픈 설명회”를 했는데요.
예상 외로 준비과정이 길어졌습니다.
다음과 같이 모집 일정과 계획을 공유합니다.
※ Project-X 사이트 : https://portal.codereview.online/main/index ※ 지원 링크 : 2022.08.01(월) 10:00 공개 ※ 세부 내용 : 아래 내용 참고
00. Project-X 란?
“Project-X” 는 아직 “가칭” 입니다.
정식명칭은 버전 1.0을 달고 올라갈 때 붙여질 예정입니다.
현재는 “Closed Beta” 기간입니다.
재단 학생들과 몇개의 교육기관이 참여합니다.
이름이 어렵다 보니까 잘 모르는 분들 계십니다.
학생 시각에서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프로젝트형 과제” 로 만들어진 “문제은행 DB”
01. 왜 만들었나?
그동안 올렸던 내용들이 있습니다.
- (2020.09.02) 42과정에 대해 솔직하게 물어보았습니다. : 기업 CTO 대상 설문
- (2021.06.10) 개발자 취업, 어떤 기업들이 있을까? : 산업통계
- (2022.05.10) (기업설문) 어떤개발자를 구하시나요? : 기업 CEO, CTO 대상 설문
왜 개발자가 모자라다고 하는건지,
42과정을 끝내면 과연 취업이 가능한건지,
42과정 말고 더 해야 할 것이 있는지 등등에 대해
시장의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확인된 사실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채용수요에 맞춘 “교육콘텐츠”가 있으면 좋겠다.
02. 어떤 콘텐츠가 있나?
우리 교육의 정체성은, “프로젝트형 과제”를
“동료”들과 함께 우당탕탕 풀어가면서 레벨업 하는 겁니다.
교육철학으로는 “구성주의 교육철학”을 따르고,
교육방식으로는 “집단학습법”, “프로젝트 학습법” 등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정체성을 기반으로 “프로젝트형 과제”를 더 만들었습니다.
우리 기업들의 이야기를 듣고, 산업수요를 바탕으로 만들었습니다.

(1) 누가 문제를 내었나요?
기업형 PBL 과제는 “기업”들이 출제했습니다.
네이버, LINE, NHN Edu, Krafton 이 참여했습니다.
올해 몇 개 기업이 더 참여할 예정입니다.
특징이 있습니다.
- 소유권이 해당 기업에 있습니다.
- 따라서, 해당 기업이 다른 교육기관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기본 난이도는 컴공과 3~4학년 수준입니다.
- 목표 수준은 “신입사원 채용기준”입니다.
- 최고 난이도는 신입사원 1~2년차 수준입니다. (채용확률 높음)
- 기업 특성을 반영하지만 꽤 범용수준입니다.
- 코드 결과물은 이력서 낼 때, 범용으로 활용해도 됩니다.
- 그 회사의 채용과 직결되진 않지만, 참고자료로 그 회사에 제공됩니다.
“산업기술”은 기업이 참여하되, 교육용 버전으로 난이도를 낮춘 겁니다.
단, 현재 “Closed Beta” 버전은 “난이도 미조율 상태”입니다.
- 소유권이 재단에 있습니다.
- 따라서, Project-X 내에서만 운영됩니다.
- 기본 난이도는 컴공과 3~4학년 수준입니다.
- 최고 수준은 “신입사원 채용기준”입니다.
- 범용수준이지만, 산업특성을 반영합니다.
- 코드 결과물은 이력서 낼 때 활용해도 좋습니다.
- 채용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기업들을 계속 확장시킬 예정입니다.
“비전공자” 관련 기초과목들은 없습니다.
- 현재 42 Seoul 교육과정에 들어있어, 개발하지 않았습니다.
(2) 이거 공부하면, 해당 분야를 마스터 하는건가요?
“아니오 !!!”
기업은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곳이고,
현장은 매일 매일 새로운 문제가 등장합니다.
마스터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죠.
그냥 해당 분야를 공부해볼 기회를 갖게 됩니다.
하지만, 기업현장에 가면 이런 생각을 하게 될겁니다.
“아, 그 때 그거 해본게 도움이 많이 되네…”
(3) 이걸 그냥 따라가기만 하면 되는건가요?
“아니오 !!!”
“프로젝트 학습법”은 “자기주도 학습법”이 중심이 됩니다.
“42 Seoul” 처럼 “해야 할 일을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풀어야 할 과제랑 간단한 도움 정보가 주어질 뿐,
진행은 팀원들과 함께 해야 합니다.
결과물은 팀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Free Riding 을 하지 않았다면,
자기가 만든 걸 남에게 보여주고 충분히 자랑할 수 있습니다.
(4) 과제를 풀고 나면 어떻게 되나요?

"교육과정" : "프론트엔드 개발자 초급"
"학습과정" : JavaScript 를 이용하여 DOM 객체 제어하기
"단위문제" : 예제형 문제 여러 개...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려면, 예를 들어 이런 경험을 해보아야 합니다.
(1) 웹브라우저에 대한 동작원리를 이해해야 합니다. (html, css, javascript)
(2) 웹브라우저와 서버 간 통신원리를 이해해야 합니다. (http, webserver)
(3) 웹브라우저 내에서 데이터(객체)를 다루는 방법을 이해해야 합니다.
(4) 웹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 그를 이용한 개발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React.js, Vue.js)
(5) 백엔드개발자와 함께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하나 구현해보아야 합니다.
“교육과정” 은 아직 화면페이지를 만들지 않았습니다.
요건, 운영하면서 만들 예정입니다.
“학습과정”은, 1개를 풀면 의도된 “경험 단위” 하나를 습득하게 됩니다.
다만, 학습과정 1개는 덩치가 크므로, 4~5개의 “단위 문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목표는 이런 걸 이해하고 경험해서 “재현”(개발)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란, 저런 일을 하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다 잘하진 못해도 됩니다.
배워서 함께 할 의지만 있다면 먼저 채용하는 기업들도 있으니까요.
03. 에꼴42와 뭐가 다르나?
동료학습이라는 학습방식은 공유하되,
시스템의 진화방향을 조금 다르게 설정했습니다.
콘텐츠 소유권이 기업에 있다보니, 에꼴42 시스템과 별도로 올리도록 했습니다.
“기업협력 프로그램”이다 보니 기업개발자가 코드리뷰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학교 외 사람들이 멘토로 참여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기타 등등, 학생들이 외부세계와 쉽게 만날 수 있도록 애를 썼습니다.
에꼴42 로는 기본기를 튼튼히 쌓는다고 하면,
Project-X 로는 조금 더 기업과제를 해볼 수 있게 했습니다.
다른 시스템이다 보니, 완전히 별개의 시스템으로 운영이 됩니다.
04. 2022년 모집계획과 운영계획은?
2022년 하반기는, Closed Beta 기간입니다.
검증해야 할 내용들이 있습니다.
(1) 검증할 내용
- 에러, 이상한 UI/UX 등을 테스트할 예정입니다.
- “프로젝트형 과제”의 난이도, 기간, 참고정보 등등이 아직 튜닝되어 있지 않습니다.
- “에꼴42″는 이런 튜닝을 하는데, 5년 이상의 시간을 투자했습니다.
- 이건 여러분들의 학습과정을 모니터링 하면서, 멘토단에서 튜닝할 계획입니다.
(2) 지원자격
- 블랙홀 연장이 없기 때문에, 원래는 공통과정 돌파자가 참여하는 “기업협력과제”로 기획되었습니다.
- 과제 난이도, 동료학습 훈련정도를 고려하여 Closed Beta 기간 동안은 4써클 이상인 경우만 지원가능합니다.
- 가능하면 Open Beta 이후에는 “공통과정 돌파자”를 대상으로 오픈하려고 합니다.
(3) 주요내용
- 모집 기수 : 4개 기수 (월별 1회 예상) (8/1 ~ 12/30, 5개월)
- 학습 분량 : 하루 2시간 x 5일(1주) x 3주 = 전체 30시간 분량
- 블랙홀 연장 : 없음.
- 과제 종료 목표 : 없음. (미완성이면 FAIL로 처리)
- 과제 난이도 : 미조정 상태 (멘토들이 모니터링 후 조정 예정)
(4) 일정
- 1기 모집 : 2022.08.01 (월) ~ 2022.08.07(일), 7일간
- 1기 학습기간 : 2022.08.08 (월) ~ 2022.08.28 (일), 21일간
- 1기 모집인원 : 50명 (5명씩 x 10개 팀, 팀은 모집 후 랜덤 배정)
- Project-X 사이트 : https://portal.codereview.online/main/index
- Project-X 사용설명 : 2022.08.08 (월) 14:00 ~15:00 새롬관 B1 (지원자에 한해)
- 학습방식 : 팀 프로젝트
(5) 기타
- 사전, 사후에 설문 조사 예정
- 일부 인원은 인터뷰 조사 예정 (30분 정도, 교육분야 전문업체 참여)
(6) 버그 신고
- 향후에는 카뎃들이 직접 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고 기여할 수 있도록
소스코드를 오픈할 예정입니다. - 이제 갓태난 아기라, 버그도 많고 세련되어지기 위해선 갈 길이 멉니다.
- 아직 JIRA 도입 이전이라, google docs로 버그 리포트를 받고 있습니다.
- 버그 신고 : https://bit.ly/x_bug
05. 기타
2기, 3기 모집도 이 페이지를 빌어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슬랙을 잘 참고해주세요.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