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28일에 “테크세미나”를 했던
“당근마켓”의 이야기를 블로그에 담았습니다.
늦게 합류하신 CADET 분들은 못보셨을 것 같아서요.
시원하게 설명해주신 “정창훈 CTO”님, 감사합니다.
참고로 “정창훈 CTO”님은 당근마켓 공동창업자입니다.

공동창업자 : 김재현 대표(왼쪽), 정창훈 CTO(중간), 김용현 대표(오른쪽)
사전질문
(Q1) 스타트업 개발자의 다양한 케이스와 현실을 알고싶습니다.
- 저는 처음에 큰 기업을 가는 것 보다는, 성장 가능성이 보이는 스타트업에 들어가 성장시키면서 경력을 쌓고 싶은데, 너무 이상적인 생각일까요? 어떤 역량을 갖춘 사람에게 가능한 것일지도 궁금합니다.
- 그리고 하나만 더 질문 드리면, IOS 앱 개발과 UI,UX 디자인이라는 두가지 기술을 가지고 초기에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Q2) 당근마켓 신입 개발자로 취업하는 방법
- 당근 마켓은 추천 모델에 BERT 모델을 적용 하는 것 처럼 딥러닝을 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에 관심이 많아 보입니다.
- 당근 마켓에 백엔드 개발자로 입사 하더래도 관련 개발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까요?
(Q3) 최신 보안 트렌드
- 개발자에게 요구하는 최소한의 기술 수준, 스타트업 회사의 단점
(Q4) 개발자로 살아가면서 느끼는 학력의 영향, (고졸, 지방대생 등의 관점)
- 현재 지방대학에 재학 중인 비전공자입니다. 전과 등을 생각하던 중 42를 알게되어 현재 휴학 중인데 개발자로 계시면서 느끼셨던 학력에 대한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 애플의 경우 개발자의 40퍼센트 정도가 고졸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고졸 개발자에 대한 시선은 어떤지, 다른 산업계에 비해 덜 보수적이라고 알려진 IT업계가 실제로도 출신 대학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Q5) 당근마켓 기업 내부 문화를 많이 알고 싶어요
- 거두 절미하고 제가 너무 취업하고 싶은 회사가 당근마켓입니다. 당근마켓에 들어가려면 어떻게 해야되나요?
- 옛날부터 채용 공고를 봐왔었는데 지금은 신입으로 js나 java 개발자만 뽑으시는 것 같던데.. 장기적으로 봤을때 js(풀 스텍)공부를 해야되나요?
(Q6) 당근마켓 내 사내 문화, 스타트업의 현실적인 장단점.
- 공고를 보다보면 스타트업에서 신입 개발자에게 요구하는 역량과 중견/대기업에서 요구하는 역량에 어느정도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정창훈 CTO 님께서는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있다면 스타트업은 어떤 면(개발 언어, 열정, 경험 등)을 더 중시하는지 궁금합니다.
응답내용
05:50 당근마켓 성장과 개발 스택의 변화
06:00 발표자 소개
24:29 선행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