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베이션 아카데미에선 어떤 사람이 배출되는가?
정리해보았습니다.

00.초연결 사회

전 세계 해저 케이블 지도
(전 세계 해저 케이블 지도)
  • 28,000 km : 전 세계를 둘러싼 해저 케이블 길이
  • 1,500 Tbps : 전 세계 해저케이블의 총 트래픽용량(초당)
  • 200 ms : 적도를 기준으로 지구 한바퀴를 도는데 걸리는 시간
  • 43억개 : 2011년까지 발급된 “공인 ip” 갯수
  • 1억개 : 우리나라에 발급된 “공인 ip” 갯수
  • 38억명 : 전 세계 스마트폰 이용자수 (2021년)

1983년, ARPAnet 이 민간에 개방됩니다.
40년이 채 안되어 세계는 인터넷으로 가득 찹니다.
이젠 웹 브라우저를 통해 지구 반대편을 봅니다.

미래사회는 이미 우리 옆에 와 있습니다.
누리고 있지만 느끼지 못할 뿐.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또 한번 새로운 세상이 열립니다.
온,오프라인의 경계가 허물어진 디지털 사회죠.

01.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DT)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smart-refrigerator.jpg입니다.

사회가 컴퓨터, 네트워크와 융합되어
분리될 수 없는 화학적 변화가 일어납니다.

카카오뱅크, “인터넷 은행”이 생기죠.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을 만납니다.
은행 창구가 없어지고,
현금 볼 일이 없어집니다.

제조, 금융, 유통까지 변합니다.
기계설비처럼 IT를 구매하던 시대는 지나갔습니다.
시스템을 전략적으로 바꾸어야만
생존할 수 있는 시대가 됩니다.

우유가 떨어지면 냉장고가 자동으로 주문합니다.
인터넷 상에 주문시스템 뿐 아니라,
우유 재고를 올려둬야 합니다.

다른 정보자산도 그렇습니다.
이제는 오프라인 정보가 완벽히 온라인으로 바뀝니다.
디지털전환 (Digital Transformation)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개발자가 더욱 더 필요하게 됩니다.


02.개발자의 역할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tesla.jpg입니다.

옛날에는 게임, 웹툰처럼
순수 프로그램만 잘 만들면 되었습니다.

이제는 복잡하게 엮어야 제 역할을 합니다.
사물인식, 빅데이터, 인공지능을 섞어야 자율주행이 되고,
스마트 공장이 있어야 스마트 주문이 됩니다.

기존 산업과 융합하려니 개발자만으로는 안됩니다.
현장 엔지니어와 개발자가 협력해야 쓸만한 결과물이 나옵니다.
사람과 기술이 섞여야 비로소 새로운 것이 나옵니다.

창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세상에 새로운 게 없습니다.
다르게 보고 비틀어봐야 새로운 게 있습니다.

하지만 보기만 해선 달라지는 게 없습니다.
변화는 보는 게 아니라 만드는 겁니다.

능동적으로 움직여야
변화가 만들어집니다.

개발자가 달라져야 되는 것입니다.

03.동기가 성장을 이끈다.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motivation.jpg입니다.

“왜 이 일을 하시나요?”

아무리 훌륭한 개발자도 동기가 없으면 엉망입니다.
잘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죠.
그런 사람과 일한다는 건 매우 고역입니다.

“동기”는 외부에서 강제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동기를 만드는 사람과 받는 사람.
항상 2명이 있어야만 합니다.

하지만, 1명분의 일을 합니다.
손해 보는 장사입니다.

“창의성”, “도전정신”, “협업”, “융합”, “비판정신” 등등.
이런 건 가르쳐서 나오는 게 아닙니다.
오직 스스로 움직이는 사람에게서만 발현됩니다.


04.우리의 인재상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20200805_140034.jpg입니다.

“Self Motivated”된 사람,
자기 동기가 가득 찬 사람.
우리 교육으로 길러내고 싶은 사람입니다.

왜 이런 사람이 중요할까?

세계적인 리더들이 이런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사람의 특징은 스스로 발전한다는 겁니다.

발전하기 위해 진지하게 고민합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틀에 얽매이지 않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가능성을 수용하기 위해 서로 다름을 인정합니다.
보다 큰 일을 하기 위해 사람들과 협력합니다.

그리고 실력을 기르기 위해 쉬지 않고 노력합니다.
실력이 있어야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입니다.

“동기” 없는 사람은 절대 이렇게 행동할 수 없습니다.

05.우리의 도전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ecole421.jpg입니다.
( ecole42, Paris )

재단이 Ecole42 를 도입하게 된 건
동기중심의 교육철학에 동의했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성장하려면 경험이 필요합니다.
경험은 도전과 실패를 통해 축적됩니다.
2년 과정을 선택한 건 그 시간을 주기 위함입니다.

왜, 2년씩이나 … ?

새로운 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람은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은 출중한 능력을 가진 사람입니다.
하루 아침에 그렇게 되진 않습니다.

세월이 흘러 꾸준히 커야 훌륭한 사람이 됩니다.
꾸준히 크는 사람은 실패로부터 배웁니다.
주변 경험을 성장의 밑거름으로 써야 꾸준히 발전할 수 있습니다.

에꼴42는 그런 교육을 추구합니다.
재단이 에꼴42를 도입하게 된 건
그런 교육방식에 동의하기 때문입니다.
우리 사회가 그런 인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06.좋은 개발자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computer-science.jpg입니다.

투자가는 팔릴만한 제품에 투자합니다.
사업가는 그 제품을 만들기 위해 개발자를 고용합니다.

소프트웨어는 “제품성”으로만 평가받습니다.
그래서 “개발자”는 기술력과 제품성(결과, 성과)으로 평가 받습니다.
학교가 주는 점수로는 평가하지 않습니다.

기술력과, 제품성은 이렇게 평가합니다.

  • 기술력은 함께 일하는 동료(선배)가 인정해준다.
  • 제품성은 소비자(사용자)가 인정해준다.

하지만 기술은 변하면서 발전합니다.
제품도 계속해서 변하고 발전합니다.

그래서 개발자는 계속 변해야 합니다.
변하면서 성장해야 생존합니다.

좋은 개발자는 변하면서 성장하는 사람입니다.

07.개발자로 커가는 곳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dev-pic-panel.png입니다.

어떻게 해야 계속 성장할 수 있게 될까?
어떻게 해야 이런 자질을 익힐 수 있을까?

이런 환경 속에 있어 보는 겁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성공 경험을 가져보는 겁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일해 본 친구를 갖는 겁니다.

(1) 개발자 커뮤니티

재단은 그렇게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환경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좋은 선배를 만날 수 있도록,
좋은 동료를 사귈 수 있도록,
좋은 후배를 얻을 수 있도록,
서로 존중하고 함께 하는
커뮤니티를 만들고자 합니다.

커뮤니티는 정말 지역사회와 같습니다.
서로 돕고 의지하면 시너지가 납니다.

서로 미워하고 견제하면,
지옥이 따로 없습니다.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는 개발자를 위한
좋은 성장 환경이 되고자 합니다.

(2) 경험과 도전환경

재단은 학생들을 가르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서로 가르칠 수 있도록 배려합니다.

세미나를 해도 좋고,
테크토크를 해도 좋습니다.

학생들이 그렇게 해볼 수 있도록,
많은 학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수업도 없고 시험으로 우열을 가리지도 않습니다.
개발자도 있고, 기획자도 있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있고,
다양한 일을 해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시도가 다양한 경험을 만듭니다.
다양한 경험이 성장을 만들어냅니다.

부끄러운 건 잠시지만,
경험은 평생을 함께 갑니다.
도전하세요.

08.10년 후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20181009_143022_HDR.jpg입니다.

언제 어디에선가 우뚝 빛나는 
그런 개발자가 되어 있을 겁니다.

세상을 다 바꾸진 못해도
무언가를 더 좋게 만들었을 겁니다.

호기심 어린 눈으로
여전히 도전적인 일을 하고 있을 겁니다.

투자가들 앞에서 열정적으로
새로운 사업을 설명하고 있을 겁니다.

후배 개발자 앞에서 좀 더 멋진
새로운 기술을 선보이고 있을 겁니다.

이 모두가 새로운 미래를 만드는 개발자입니다.

목표는 크게, 시작은 작게.
꾸준히 후퇴하지 않고 한걸음씩 성장하면
어느 사이엔가 새로운 미래가 다가와 있을 겁니다.

그 시작에 “이노베이션 아카데미”가
있었음을 기억해준다면,
우리의 도전도 보람 있을겁니다.

“이곳에서 친구들과 함께 시작하십시오.”

재단이 응원하겠습니다.

끝.